서울과 경기도는 대한민국 수도권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가장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발전해 온 지역입니다. 이 두 지역은 오랜 역사 속에서 독자적인 지명을 가지고 있었으나, 시대의 변화에 따라 많은 지명이 새롭게 정비되거나 사라졌습니다. 삼국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서울과 경기도의 지명 변화 과정은 정치적, 행정적, 문화적 요인에 따라 달라졌으며, 도시 개발과 현대화 속에서도 일부 전통 지명이 남아 지역 정체성과 문화적 가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본 글에서는 서울과 경기도의 옛 지명 변화를 비교 분석하고, 그 의미와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서울·경기도 지명 변화의 특징
서울과 경기도 지역은 삼국시대부터 현재까지 한반도의 중심지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특히 수도권이라는 공간적 특성상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 기능하면서 지명 변화가 매우 활발하게 이루어진 지역입니다. 삼국시대 당시 서울 지역은 백제의 수도였던 위례성(慰禮城)이 자리했던 곳으로,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되었습니다. 신라가 삼국통일 이후 이 지역을 점령하면서 서울 지역 일대는 다시 새롭게 정비되었고, 경기도 지역 역시 고구려, 백제, 신라의 경계가 맞물린 곳이 많아 다양한 지명이 혼재했던 지역입니다.
고려시대에 들어서면서 서울은 '남경(南京)'이라는 지명을 얻었습니다. 이는 개경(개성)을 수도로 삼은 고려가 남부 지역의 행정 중심으로 남경을 설정하면서 비롯된 것입니다. 경기도 지역은 당시 전국 5도 체제 속에서 개경과 남경을 연결하는 중요한 공간적 역할을 하였고, 각 지역은 자연지리적 특성과 행정적 필요에 따라 지명이 부여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본격적으로 지명 정비가 이루어졌습니다. 태종과 세종 시대를 거치면서 전국 행정구역 정비 사업이 진행되었고, 이 과정에서 서울은 '한양(漢陽)'이라는 공식 수도 이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이후 조선 후기까지 한양은 수도의 이름으로 불리면서, 지금의 서울을 대표하는 지명으로 정착하였습니다.
한편, 경기도 지역은 한양을 둘러싼 외곽 지역으로 조선시대 내내 중요한 역할을 하였습니다. 경기도라는 명칭 자체도 '경기(京畿)'는 수도 주변의 지역을 의미하며, 한양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공간적 의미로 사용되었습니다. 조선시대 경기도 지역은 광주군, 고양군, 양주군, 수원군, 용인군, 부천군 등으로 나뉘어 있었으며, 각 지역은 자연환경과 지역 특성에 따라 지명이 부여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고양군은 고봉산과 관련된 지명에서 유래하였고, 광주는 넓은 들판이라는 의미를 가진 지역이었습니다. 수원은 물이 풍부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지명이었고, 용인은 '용이 숨은 마을'이라는 전설적 이야기가 전해지는 지명입니다. 이러한 전통 지명들은 각 지역의 자연환경, 지리적 특성, 전설 및 생활 문화 등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있어 지금도 지역민들의 정체성과 문화적 자긍심을 상징하는 이름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서울 지역은 청계천, 북악산, 인왕산, 남산 등 자연적 지명들이 그대로 사용되었고, 경복궁, 종로, 을지로 등 역사적 사건이나 인물과 관련된 지명들도 조선시대부터 사용되었습니다. 반면 경기도는 넓은 행정구역 내 자연환경 중심의 지명이 많아 오늘날까지 그 명칭이 이어지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지명들은 일제강점기와 현대 도시 개발로 인해 많은 변화가 있었으나, 과거의 흔적은 여전히 도로명, 공원명, 건물명, 지하철역명 등으로 남아 현대인들의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습니다.
2. 일제강점기와 근현대 변화 비교
일제강점기는 서울과 경기도 지명 변화사에서 가장 극적인 변화를 겪은 시기였습니다. 일본은 조선을 식민 통치하기 위해 전국 지명을 일본식으로 변경하거나 발음을 왜곡하여 사용하였으며, 행정구역 개편을 통해 한국 고유의 지명을 삭제하거나 축소하는 작업을 진행하였습니다. 서울은 일제강점기 동안 '경성부(京城府)'라는 일본식 명칭으로 불리며 한양이라는 전통 지명은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았습니다.
이 시기 서울 지역은 도시 개발이 급격하게 이루어지면서 기존의 자연적 지명이나 전통 마을명은 사라지고, 일본식 거리명과 도로명이 등장하게 됩니다. 명동(明洞), 충무로(忠武路), 을지로(乙支路) 등 일제강점기 도로 체계 정비와 함께 지명도 함께 개편되었습니다. 특히 일본은 도시 구획 정리를 통해 행정구역을 새롭게 설정하며 한국 고유 지명을 대체하려는 정책을 적극 추진하였습니다.
경기도 역시 일제강점기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 경기도 내 기존 군현 체제는 '부' 또는 '군' 체제로 정리되었으며, 일부 지역은 일본식 발음이나 한자 표기를 강제당하였습니다. 수원부, 인천부, 개성부 등은 일본식 행정체계 하에 재정비되었으며, 기존 군 단위 지역들도 일본식 지명 사용을 강요받았습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는 서울과 경기도 모두 일본식 지명 강요에도 불구하고 지역 주민들 사이에서는 기존 전통 지명이 계속 사용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해방 이후 서울은 '경성'이라는 일제 명칭을 폐기하고 1946년 '서울특별자유시'라는 이름을 사용하게 되었으며, 이후 '서울특별시'로 공식 지명이 확정되었습니다. 서울 내 전통 마을명과 자연지명은 대다수 사라지거나 도로명이나 동 이름으로만 남게 되었으며, 특히 강남 지역은 본래 '언주면', '역삼리', '논현리' 등의 전통 지명이 있었으나, 대규모 도시 개발로 인해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 새로운 행정구역 명칭이 등장하였습니다.
경기도는 근현대 산업화와 도시화 과정을 거치면서 기존 군 단위 지역들이 시 단위로 승격하거나 신도시 개발로 새로운 행정구역이 만들어졌습니다. 대표적으로 성남시는 과거 광주군 일부였고, 분당구는 '분당리'라는 작은 마을 이름에서 유래된 지명입니다. 안양시는 과거 안양현, 고양시는 고봉현과 덕양군 등이 있었으며, 남양주시, 부천시, 수원시 등도 원래 군 단위 지역에서 도시화 과정을 거쳐 시 단위 행정구역으로 전환되었습니다.
이러한 서울과 경기도의 지명 변화 비교는 도시 개발과 행정구역 확장이라는 공통적 배경을 가지면서도, 서울은 수도로서의 상징성과 정치적 상업적 중심지로서 행정 편의에 의한 지명 변경이 두드러진 반면, 경기도는 넓은 농촌지역을 기반으로 한 행정구역 변화와 자연적 지명의 잔존이라는 차별성을 보여줍니다.
3. 옛 지명의 현재 활용과 문화적 가치
2025년 현재 서울과 경기도의 옛 지명은 다양한 형태로 생활 속에 남아 있으며, 이는 지역 정체성과 문화적 가치를 이어주는 중요한 요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과거 행정구역명이나 자연적 지명은 도로명, 지하철역명, 공원명, 건물명 등에 활용되며 과거와 현재를 잇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서울 강남구 일대는 '언주면', '역삼리', '논현리' 등의 전통 지명이 도로명으로 남아 있어 '언주로', '역삼동', '논현동'이라는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명칭은 급격한 도시 개발 속에서도 과거 지명의 흔적을 보존하는 사례입니다.
경기도 지역에서도 옛 지명을 활용한 사례가 많습니다. 성남시 분당구는 본래 '분당리'라는 마을 지명에서 유래하였으며, 수원의 경우에도 '영통', '매탄', '권선' 등 전통적 마을 이름이 현대 행정구역명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고양시 일산구도 일산리에서 유래된 이름으로, 도시 개발 이후에도 기존 지명이 살아남은 사례입니다.
또한 서울과 경기도의 일부 지역은 옛 지명을 활용한 지역 축제나 문화행사를 통해 지역 문화와 역사를 계승하고 있습니다. 서울의 서초구는 '서리풀축제'를 개최하여 과거 '서리풀'이라는 전통 지명을 재조명하고 있으며, 경기도 각 지자체도 전통 지명을 활용한 문화 콘텐츠 개발과 관광자원화에 나서고 있습니다.
이처럼 서울과 경기도의 옛 지명은 단순한 과거의 흔적이 아닌, 현재와 미래를 연결하는 문화적 자산으로서 가치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지역 고유의 옛 지명을 보존하고, 이를 문화 콘텐츠로 발전시켜 지역 브랜드 가치를 높이는 노력이 계속될 것으로 기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