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지명은 단순한 지역 명칭을 넘어 지역민의 삶과 역사, 문화, 환경적 특성을 담고 있는 중요한 자산입니다. 특히 향토사 연구자들에게 지명의 변천 과정은 지역사 연구의 핵심 자료로 활용됩니다. 지명은 그 지역의 정치적 변화, 경제적 발전, 사회적 환경, 자연지리적 특성 등이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만들어졌기 때문에, 옛 지명의 변천 과정을 살펴보는 일은 지역의 역사적 정체성과 문화적 의미를 해석하는 중요한 작업입니다. 이번 자료에서는 한국의 옛 지명 변천 과정을 시대별로 정리하고, 향토사 연구자가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지명 변화 사례와 연구 방법론을 제시합니다.
1. 삼국부터 조선까지 지명 형성과 변천의 원리
삼국부터 조선까지 우리나라의 지명은 각 시대별 정치적 상황, 행정적 변화, 자연환경적 특성, 문화적 요소가 복합적으로 반영되어 만들어지고 변화해왔습니다. 향토사 연구자들이 특정 지역의 역사를 연구할 때 반드시 살펴보아야 할 요소가 바로 이 지명의 변화 과정입니다. 각 시대마다 지명이 정해지는 방식에는 공통점도 있고 시대적 특수성도 나타나는데, 이는 지역사 연구에 있어 귀중한 단서를 제공합니다.
삼국시대에는 고구려, 백제, 신라가 각기 다른 언어와 문화를 바탕으로 지명을 설정했습니다. 고구려는 북방 산악 지형을 바탕으로 ‘성(城)’ 자가 들어가는 방어적 성격의 지명이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평양성(平壤城)'은 넓은 평야 지대를 의미하며 수도로 사용되었습니다. 백제는 서해안과 한강 유역을 중심으로 한 지리적 특성과 전설, 생활 문화가 반영된 지명이 많았습니다. 위례성(慰禮城)은 백제의 첫 수도였으며, 예를 다하는 평화로운 땅이라는 의미가 담겨 있습니다. 신라는 산, 강, 바다를 활용한 자연 지명이 특징적이었으며, 수도인 서라벌(徐羅伐)은 신령스러운 별이 내려온 고을이라는 의미를 지녔습니다.
통일신라 시기에는 주·군·현 체계가 확립되면서 지명 통합과 정비가 이루어졌습니다. 기존 삼국의 전통 지명 중 일부는 그대로 유지되었지만, 새로운 행정 단위를 적용하면서 지명이 바뀌거나 변형된 경우도 많았습니다. 예를 들어 오늘날 청주(淸州)는 삼국시대 상당현으로 불렸고, 이는 산 아래 고을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고려시대는 전국을 5도 양계로 나누며 행정적 통치를 강화하기 위해 지명 정비 작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광역 지명 설정 시에는 지역 내 대표 도시의 이름에서 한 글자씩을 따오는 방식이 일반적이었습니다. 강원도는 강릉(江陵)의 ‘강’과 원주(原州)의 ‘원’을 따서 만들어졌고, 충청도는 충주(忠州)와 청주(淸州)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은 고려시대 이후 조선시대에도 이어지며 광역 단위 지명의 특징이 되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집권적 행정 체계가 더욱 강화되면서 전국 8도의 체제가 확립되었습니다. 태종과 세종 대에 이루어진 대대적인 행정구역 정비 사업은 오늘날까지도 한국 지명 체계의 기본 틀로 남아 있습니다. 당시 지명 설정의 주요 원리는 자연환경적 특성, 풍수지리 사상, 유교적 가치관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전주(全州)는 완전하고 넉넉한 고을이라는 의미, 진주(晉州)는 넓은 들판, 경주(慶州)는 경사스럽고 복된 고을이라는 의미가 있습니다.
조선시대의 지명 변화 특징은 자연 지형과 생활 문화가 잘 어우러졌다는 점입니다. 산이 많으면 ‘산(山)’, 물이 많으면 ‘수(水)’나 ‘천(川)’, 들이 넓으면 ‘평(坪)’이나 ‘원(原)’ 등이 들어가는 지명이 많았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전통 지명은 지역의 자연환경과 생활양식, 역사를 함께 담아내는 상징적 요소가 되었고, 향토사 연구자들은 이를 통해 지역 문화와 역사적 맥락을 깊이 이해할 수 있습니다.
2. 일제강점기의 지명 왜곡과 행정구역 변화
일제강점기(1910~1945)는 한국 지명사에서 가장 큰 왜곡과 강제적인 변화를 겪은 시기입니다. 일본 제국주의는 조선을 식민 통치하면서 전국 지명 개편을 통해 식민 지배의 정당화와 통치 효율성 제고를 꾀하였습니다. 일제강점기의 지명 정책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첫째, 기존 지명을 일본어 발음에 맞게 왜곡하거나 일본식으로 변형하는 것, 둘째, 기존 자연 지명이나 전통 마을명을 통폐합하거나 삭제하는 것, 셋째, 새로운 일본식 행정구역 체계를 도입하여 지명을 재편하는 것입니다.
대표적인 사례는 서울입니다. 조선시대 한양 또는 한성으로 불렸던 서울은 일제강점기 동안 ‘경성부(京城府)’로 변경되었습니다. 이는 일본의 식민 수도 체계에 맞춘 명칭으로, 한국 전통 수도의 정체성을 삭제하고 일본식 도시 모델을 도입한 대표적 사례입니다. 부산은 '부산부(釜山府)', 대구는 '대구부(大邱府)'로 변경되었으며, 전통적 마을명이나 자연 지명은 공식 행정 문서나 지도에서 사라지거나 축소되었습니다.
일제는 1914년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행정구역 통폐합령'을 통해 전국 군현제를 폐지하고 부·군·면 체계로 재편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각 군의 소규모 읍면과 자연촌락은 대거 통합되거나 삭제되었습니다. 충청도는 충청남도와 충청북도로 나뉘었고, 경상도와 전라도 역시 남북 도 체제로 재편되었습니다. 이러한 행정구역 개편은 식민 통치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정책적 의도가 담긴 것입니다.
철도와 항만, 산업단지 건설 등 근대적 개발 프로젝트 속에서도 지명 왜곡은 가속화되었습니다. 역명, 도로명, 산업지구명은 일본식 한자어로 새롭게 설정되었고, 지역 전통 지명은 배제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금강 하류와 서해안 어촌 마을은 일본식 어항 개발로 인해 전통 지명이 사라지고, 새롭게 설정된 산업지구명이나 공장지명이 사용되었습니다.
이러한 일제강점기 지명 변화와 행정구역 개편은 향토사 연구자에게 있어 매우 중요한 연구 대상입니다. 일제강점기의 지명 왜곡은 단순히 행정적 변화를 넘어 지역 정체성과 문화 파괴, 역사 단절의 상징적 의미를 가지기 때문입니다. 연구자는 당시 행정문서, 지도, 구술 자료, 일본 측 기록 등을 분석하여 지명 변화 과정을 복원하고, 일제 식민 지배의 실태와 지역사 복원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연구 작업을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현대 한국 지명의 복원과 활용 방안
해방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일제강점기 지명 왜곡을 바로잡고 전통 지명 복원 및 행정구역 정비 작업을 추진하였습니다. 서울은 일제 강점기 '경성'이라는 명칭을 폐기하고 '서울특별자유시'를 거쳐 '서울특별시'로 지명이 확정되었습니다. 광역 행정구역은 조선시대 8도 체계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군 단위 지역은 시 승격, 읍·면 통합 등 현대 행정체계에 맞추어 변화되었습니다.
현대 한국 지명의 특징은 산업화와 도시화, 신도시 개발, 수도권 개발 등의 과정에서 새로운 지명이 등장하거나 전통 지명이 소멸되는 경우가 많았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서울 강남구 일대는 본래 '언주면', '역삼리', '논현리' 등 전통 농촌 지명이 있었으나, 도시개발로 인해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등 현대적 행정구역 명칭으로 대체되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전통 지명을 복원하고 지역 브랜드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도로명 주소 체계 도입 이후 과거 마을명이나 자연 지명을 살린 도로명이 부여되고 있으며, 지역문화 축제나 관광 브랜드 개발 과정에서 전통 지명이 적극 활용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강원도의 '춘천막국수축제', 경주의 '경주문화엑스포', 공주의 '백제문화제' 등은 지역 전통 지명과 문화유산을 결합한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향토사 연구자들은 이러한 현대 지명 변화를 자료화하고, 지역 전설과 설화, 구술 자료를 수집하며, 과거와 현재의 지명 변천사를 비교 분석하는 작업을 통해 지역사 연구를 심화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지역 박물관, 기록관, 도서관 등을 활용하여 지명 관련 유물과 문헌을 조사하고, GIS(지리정보시스템) 기술을 활용해 옛 지명 지도 제작 등 디지털 향토사 연구 프로젝트를 기획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옛 지명 변천 과정은 향토사 연구자에게 끝없는 자료적 가치를 제공하며, 이를 통해 지역 정체성 확립과 문화유산 보존, 지역 공동체 의식 함양 등 다양한 사회적·교육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입니다.